+1 847 692 6378

325 West Touhy Avenue 
Park Ridge, IL 60068 USA

연락처

유용한 링크

  • 기업용
  • MDRT 스토어
  • MDRT 재단
  • MDRT 아카데미
  • MDRT Center for Field Leadership
  • Media Room

MDRT 챕터 사이트

  • 한국
  • 일본
  • 중국 대만

Copyright 2025 Million Dollar Round Table®

면책 조항프라이버시
  • 소개
  • 가입
  • 이벤트
  • 리소스

박천국 FSR은 MDRT 14회, COT 1회를 달성한 베테랑 보험 재정 전문가이다. 또, 꾸준히 뛰어난 성과를 내면서도 일과 삶의 균형을 잘 잡아가는 것으로도 평판이 높다. 그는 어떻게 시간을 관리하기에 일과 삶에서 모두 성공을 거두고 있을까?

 

1.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2005년부터 16년간 보험업계에서 일해온 박천국 FSR입니다. MDRT는 14회, COT는 1회 달성했습니다. 한국 MDRT협회에선 2008년부터 봉사 활동을 해왔으니 13년차가 되었습니다. 올해는 한국 MDRT협회의 사무국장으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2. 보험설계사에게 시간이란 어떤 의미인가요?

시간은 누구에게나 중요하지만 보험 재정 전문가에겐 특히 중요한 자산입니다. 우리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직업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우리 직업은 특별한 실력이나 스킬로 단기간에 전문성을 구사하며 사건을 매듭짓는 일이 아닙니다. 일정한 시간을 두고 고객과의 신뢰를 확보해가는 게 우리 일의 특성이자 핵심입니다. 관계 맺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면서 신뢰를 쌓아야 합니다. 그러려면 건강이나 전문성을 갖추어 가면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인맥도 형성해야 합니다. 이런 다양한 조건을 갖추기 위해선 준비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들에게 시간이 자산인 이유입니다. 제대로 시간을 활용해서 미리 준비해두지 못하면 고객에게 위기가 찾아왔을 때 제대로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3. 그렇다면 시간을 잘 활용하기 위한 설계사님만의 원칙이 있습니까?

저는 시간 관리의 두 가지 원칙을 세웠습니다. 첫째, 우선순위를 정하자. 둘째, 직접 해야 할 일과 위임할 수 있는 일을 나누자. 먼저 우선순위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우리는 한 사람 한 사람을 일인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보험 재정 전문가가 하는 업무를 회사의 특정 부서와 연결해서 생각해봐도 될 겁니다. 처음 일할 때의 저는 영업부서가 중심이 되어 운영되는 회사에 가까웠습니다. 고객을 만드는 게 가장 중요했습니다. 3W를 몇 년간 이어가며 막무가내로 일했습니다. 하지만 고객이 늘어나면서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우선순위를 정하지 않으면 일은 열심히 하는데 성과는 나오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점점 관리가 중요한 회사처럼 바뀌어 갔습니다. 우선 순위 설정의 첫 단계는 고객을 분류하는 일입니다. 우선 만나야 할 고객과 정보만 전달해드려도 될 고객을 분류합니다. 그리고 하루 일과도 중요한 일부터 먼저 처리합니다. 고객을 케어 하는 것이 제 일이니까 사무실에 오면 고객 상담 스케줄을 잡는 통화를 가장 먼저 합니다.

위임은 제가 설정한 시간관리의 두번째 원칙입니다. 위임이란 내가 할 일과 그렇지 않은 일을 구분하는 행동입니다. 위임은 더 집중하고 몰입해서 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당연히 성과도 달라지겠죠. 위임 여부를 결정할 때에도 대상이 가장 중요합니다. 제 고객은 900명 정도가 됩니다. 제가 직접 만나 계약한 고객이 600명 정도이고, 300명은 이양 받은 고객입니다. 아무래도 직접 만난 대상과의 신뢰 관계가 더 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직접 만나 계약을 유치한 고객이 우선이 됩니다. 그리고 고객을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A그룹은 제가 직접 주도적으로 만납니다. B그룹이나 C그룹은 직원이나 파트너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대상 다음으론 업무 내용을 보게 됩니다. 전화와 미팅은 되도록 직접 처리합니다. 하지만 보험금 청구나 우편물 발송, 정기적 정보 제공 같은 업무는 동료를 통해서 해결합니다.

 

4. 보험설계사에겐 시간이 자산이다 보니 오히려 일과 생활 사이의 균형을 뜻하는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챙기기 어려울 수도 있을 듯합니다.

얼마나 오래 이 일을 할 수 있을까? 이것이 보험업 종사자의 공통된 고민입니다. 저는 일을 시작한 후 5년에서 10년 정도는 고객 확보에 집중해야 할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고객이 있어야 롱런 할 수 있으니까요. 그러니까 육체적으로 좀 힘들게 뛰어다니는 시기는 반드시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람은 누구나 나이를 들어가니까 한 살이라도 젊을 때 활동량이 많은 일을 해결하는 게 낫겠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일의 행복을 위해 오늘을 완전히 희생해선 안 된다고도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활동량이 가장 많을 때에도 미리 여행하거나 휴식해야 할 시간을 확보해 뒀습니다. 언제부터 언제까지는 가족과 여행을 떠나니 무조건 비워 둔다는 식이었습니다. 빼놓은 시간을 마음껏 즐기기 위해 남은 시간에 더 집중해서 일하기도 했습니다.

워라밸은 중요합니다. 밸런스를 잘 잡기 위해선 중심부터 제대로 잡아야 합니다. 비행기가 이륙할 때에는 누가 먼저 산소호흡기를 착용해야 하는지 설명이 나옵니다. 아이들보다 아이들을 보호해야 할 가장이 먼저 산소호흡기를 착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워라밸을 지키기 위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먼저 건강하고 행복해야 가족에게도 좋은 에너지를 줄 수 있습니다. 중심 잡기가 워라밸의 첫째 조건이고, 둘째로 공유가 중요합니다. 모든 걸 가족과 공유해야 합니다. 내 목표와 성과, 힘든 점도 공유해야 응원 받고 밸런스를 맞추면서 일과 가정을 병립할 수 있습니다.

 

5.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시간 관리의 노하우가 있다면 공유해 주십시오.

저는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그런데 정말 효율적으로 협업하기 위해선 코워킹의 깊이, 밀도가 중요합니다. 재작년부터 저는 아내와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그 전에도 집에서 일을 도와주곤 했는데, 2018년 12월에 정식으로 입사해서 제대로 협업을 시작했습니다. 아이가 어느 정도 컸으니까 가능한 일이죠. 처음에는 저도 이게 올바른 선택일지 많이 고민했습니다. 일단 해보자는 마음으로 시작했는데 지금까진 장점이 훨씬 많이 보입니다. 아내는 고객관리팀장의 포지션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게 일하고 있습니다. 고객과 상담하면서 또는 상담 직후에 혼자 그 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아내가 그 역할을 해주니까 차후 상담 고객을 만날 때 준비 시간이 많이 단축되고 있습니다. 깊이는 더 깊어지면서 말이죠. 코워킹 하는 일을 누구보다 자신의 일처럼 생각할 파트너가 있다면 시간 절약과 효율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겁니다.

 

6. 시간 관리에 대한 추가 조언이 있을까요?

미국에서 고객에게 ‘설계사 선택의 기준’을 설문 조사했습니다. 가장 많은 표를 받은 답변은 투명성이었습니다. 숨기는 것 없이 솔직하다는 느낌을 받아야 한다는 겁니다. 굿 리스너가 2위, 전문성과 팔로 업이 그 뒤를 따랐습니다. 이 답변을 잘 생각해보면 어떤 설계사가 되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투명성을 갖추려면 자신감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건강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고객의 목소리에 귀를 잘 기울이려면 마음의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자신의 재정 관리가 먼저 잘 이루어져야 합니다. 전문성은 꾸준한 자기계발의 결과입니다. 팔로 업은 계속적인 약속 준수를 의미합니다. 너무 많은 약속을 하면 지키기 어려워집니다. 자주 찾아 뵙겠다는 식의 공수표를 남발해선 안 되겠죠. 설계사의 시간 관리 방법에 대해서도 다르지 않습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고객의 시각에서, 이 기준에 맞춰 각자의 시간을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좋은 결과가 나올 겁니다.

2020년 1월 17일

시간관리의 노하우- 워라밸의 비결

일한 만큼 또는 그 이상의 성과를 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시간을 쏟아 부으면서도 결과를 내지 못하는 이도 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일과 삶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비법은 무엇일까? MDRT 14회, COT 1회를 달성한 메트라이프생명 박천국 FSR이 자신의 노하우를 공개한다.
시간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