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847 692 6378

325 West Touhy Avenue 
Park Ridge, IL 60068 USA

연락처

유용한 링크

  • 기업용
  • MDRT 스토어
  • MDRT 재단
  • MDRT 아카데미
  • MDRT Center for Field Leadership
  • Media Room

MDRT 챕터 사이트

  • 한국
  • 일본
  • 중국 대만

Copyright 2025 Million Dollar Round Table®

면책 조항프라이버시

2018년!

대한민국에서는 ‘58년 개띠’로부터 시작된 베이비부머의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었다. 앞으로 12년동안 전 인구의 약 20%가 은퇴를 맞는다. 그리고, 그 대미를 ‘70년 개띠’가 맡는다. 대한민국 국민의 노후를 책임 질 ‘국민연금’은 바로 그 시기에 정점을 찍고 보험료의 수입과 지출이 역전되고, 약 2040년부터는 자산의 감소쪽으로 변곡점을 지나게 된다. 이러한 고령화의 심화과정속에서 우리 MDRT회원들은 어떤 가치관과 방향성을 가지고, 고객과의 관계형성을 가져갈 것인가? 단순히 이전의 사회경제적인 관념의 틀 속에 갖혀서 변화의 흐름을 놓치고 시대적 흐름에 밀려날 것인가? 아니면 변화의 선두에서 그 변화를 즐기며, 고객과 함께 성공을 할 것인가 기로에 서 있다. 지난 2015년부터 ‘Retirement Income Planning’에 관심을 가지고, 변화를 시작한지 어언 4년. 쉽지 않은 시간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했던 개념을 이해하는 데 드는 시간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개념에 대한 이해를 하고 나서, 이제 성공적인 도전을 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회원들과 공유하고 싶다.

2004년부터 업계에 들어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MDRT 10회 종신회원(COT 5회)이 되면서 새로운 도전을 위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단순히 내 소득 증가를 넘어서서, 평생 MDRT회원으로써 건강만 허락한다면 50+회원도 가능하리라는 꿈을 가지고 있었지만, 해를 거듭하면서 안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싹트면서 나의 변화는 시작되었다. 비회원에서 회원이 되기까지 3년이 걸렸다. 생각의 변화를 통해 가능했던 부분이다. 그런데, 그렇게 10년이 지나고 나서는 또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 나에겐 2015년 연차총회부터 변화가 시작되었다.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것도 좋지만, 나만의 전문영역을 구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이 들었다.

언제까지 나의 노력으로 인한 세일즈 판매에 의존할 것인가? 언제까지 신규 판매만을 위한 활동을 할 것인가? 언제까지 이렇게 역동적인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인가?

해가 거듭될수록 커지는 직업적 고민이었다. 언제까지 유목민처럼 새로운 초원을 찾아 이동할 것인가? 농부의 마음으로 씨앗을 뿌리고, 가꾸고 거기에서 수확을 하는 것은 어떨까?

고객의 입장에서는 언제까지 신상품 구매라는 압박에서 벗어나 평생고객으로서 자문과 관리를 받을 수 있을까? 또한 언제까지 축적위주의 ‘저축의 시대’만을 살아갈 것인가? 이제 사회는 ‘인출의 시대’로 변화하였다. 다만, 인식하지 못할 뿐이다. 인출의 시대에 대한 적응을 못하고 있으며, ‘은퇴 파산’의 공포를 아슬아슬하게 피해가고 있다. 언제까지 그렇게 살 수는 없다. 우리는 그런 고객을 도와야 한다. 우리 비즈니스의 근간인 생명보험은 우리가 고객과의 관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습으로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원동력이다. 하지만, 그것이 모든 것을 다 해결해 주지는 못한다.

우리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속도로 ‘초고령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어린 시절 우리나라의 역사를 배우면서 들었던 생각이 있었다. 우리는 반만년의 역사에서 약 930여회의 외침이 있었다. 반만년의 역사를 통해서 우리는 전쟁의 아픈 역사를 누구보다도 많이 알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이제는 전쟁이 없도록 자주국방을 해야 한다는 약간의 이데올로기적인 교육을 받았다. 중요한 것은 전쟁의 무서움을 우리는 역사기록을 통해 배웠고, 그를 통해 충분한 대비를 통해 지난 수십년 동안 전쟁이 없지 않았을까?

이제 우리는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무시무시한 ‘초고령화 시대’를 맞는다. 당초 2028년으로 예상하던 인구감소를 10년 이상 앞당겨 경험하게 된다. 즉, 출생인구보다 많은 사망인구를 경험하게 된다. ‘전쟁도 없는 시대’에서 이런 식의 급격한 인구 감소는 처음으로 맞는 위기의 시대이다. 이는 생명보험 및 재무서비스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도 변화를 시작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 중 과연 얼마나 이런 현실을 직시하고 변화하고 있는가? 아직은 고객의 극히 일부만이 은퇴를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벌써 느끼기 시작한 것이 있다. 본인이 처음으로 준비하기 시작한 시점의 은퇴예상소득과 은퇴를 맞이하면서 실제 맞이한 은퇴소득의 괴리, 그리고 안정적인 은퇴소득의 지속성에 의문을 가지면서 나타나는 현상들이 바로 그것이다. 결과적으로 고객은 지난 20여년 가까이 본인은 ‘은퇴를 위해 무엇을 한 것인지 의문이 든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었다. 본인이 잘못한 것은 설계사의 말을 ‘100%’ 믿은 것밖에 없다는 것이다. 우리 재무설계사들이 가장 강조한, 믿을 만한 ‘설계사’를 믿은 것이 그들의 은퇴준비를 막은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만든다.

따라서 우리는 이제 시대적 흐름에 맞는 공부를 통해서 정말 우리를 믿고, 본인의 가족과 행복한 은퇴를 준비하는 고객에게 어떤 서비스를 할 것인가에 대한 가치관과 철학을 재정립해야 한다.

우리 부모세대에서 가지고 있던 ‘저축의 시대’ 마인드를 ‘인출의 시대’ 마인드로 바꾸어 진정한 Retirement Income Planning을 통한 행복한 인생의 동반자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고 있는 현황과 방향성에 대해 같이 공유하고자 한다. 가장 중요한 은퇴소득인 Pension과 Annuity와 Withdrawl의 차이를 통해 은퇴소득의 두 요소인 고정소득과 변동소득을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방법을 알아야 여러분과 고객의 성공적인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다.

Kang

강현호(Hyeon Ho Kang) COT를 5회 달성한 강현호는 13년차 MDRT 회원으로 대한민국 서울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는 2004년에 생명보험 설계사의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2017년에는 우수재무설계사 어워드를 수상했습니다.

JH_Park

박준희(Joon Hee Park) COT를 2회 달성한 박준희는 9년차 MDRT 회원으로, KMI Asset HH Partners의 CEO이기도 합니다. 한국 MDRT의 연차총회 준비위원회 체어를 맡았던 그는 현재 한국 MDRT의 프로그램 개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금융심리 분석가이자 저명한 강연자이기도 한 그는 MDRT 글로벌 컨퍼런스와 MDRT의 날 행사에서도 강연을 하였습니다.

Hyeon Ho Kang박준희 (Joon Hee Park)
Hyeon Ho Kang
박준희 (Joon Hee Park)
의 연차총회; 글로벌 컨퍼런스2021년 1월 19일

퇴직 소득 솔루션

부모 세대는 어떻게 은퇴를 준비해야하며, 우리는 어떤 변화를 주어야합니까? 한국에서는 인구가 고령화되고 출생률이 감소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한국인의 퇴직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 다 높지만 고객과 상담하는 상담원의 퇴직 준비 상담 능력은 얼마나 전문화되어 있습니까? 솔루션을 배우려면이 세션으로 오십시오.
은퇴설계
‌
‌
  • 소개
  • 가입
  • 이벤트
  • 리소스

저자

Hyeon Ho Kang

박준희 (Joon Hee Park)